[주간 뉴스메이커] 비틀스, 영국 싱글 차트 1위 外<br /><br />▶ 비틀스, 영국 싱글 차트 1위<br /><br />비틀스의 마지막 신곡이 베일을 벗은 건 지난 2일 오후 11시. 1996년 '리얼 러브'를 발표한 이후 무려 27년 만에 마술처럼 등장한 비틀스의 신곡.<br /><br />반 세기 전 해체된 후, 멤버 두 명이 고인이 된 비틀스가 신곡을 발표하자 전 세계 팬들의 관심이 집중됐는데요.<br /><br />특히 신곡, 은 비틀스의 모든 멤버가 참여한 마지막 노래라고 밝혀 궁금증을 더했습니다.<br /><br />반 세기 전 해체한 비틀스가 마지막 신곡을 낼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요?<br /><br />그 비밀은 에 담긴 목소리에 숨어있습니다.<br /><br />비틀스가 신곡을 발표할 수 있었던 건 바로 AI의 음성 복제 기술 덕분인데요.<br /><br />은 당초 앨범 '리얼 러브'를 만들 당시 함께 수록하려 했지만 존 레넌의 목소리가 피아노 소리에 묻혀 들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제외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AI가 레넌의 목소리를 반복 학습한 뒤 그의 목소리를 피아노 음에서 분리하는 데 성공하면서 30대 청년 레넌과 80대인 폴 매카트니가 함께 노래하게 된 건데요.<br /><br />AI 덕분에 현실에는 없는 새로운 비틀스가 탄생한 겁니다.<br /><br />이제 80대가 된 매카트니는 지난해 미국의 한 스튜디오에서 노래를 완성했는데요.<br /><br />작고한 멤버 조지 해리슨의 1995년 기타 연주 등도 그대로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매카트니는 노래를 녹음한 후 초현실적인 경험이었다고 밝히며 레넌의 목소리가 아주 선명했고, 진짜 비틀스의 녹음이었다고 회상했는데요.<br /><br />2023년에도 여전히 비틀스가 음악 작업을 하고 있다는 건 아주 신나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 신곡 발표도 모자라 더 놀라운 일이 벌어졌는데요.<br /><br />비틀스의 나우 앤드 덴이 오피셜 싱글 차트 톱 100에서 1위를 차지한 겁니다.<br /><br />그들이 1위를 기록한 건 무려 54년 만인데요.<br /><br />유튜브를 통해 함께 공개된 뮤직비디오도 1주일 만에 조회수 2,500만 회를 돌파하며 비틀스의 위대함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습니다.<br /><br />▶ '전설의 롤렉스' 주인 오지환<br /><br />"한국시리즈 MVP에게 전해달라…". 고 구본무 LG 선대회장이 25년 전 값비싼 롤렉스 시계를 구매한 후 남긴 메시지입니다.<br /><br />1998년 구 선대회장은 LG트윈스의 한국시리즈 야구 우승을 간절히 기원하며 당시 8천만 원 상당의 고가 명품 시계를 구입했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LG트윈스가 번번이 우승과 연을 맺지 못하면서 구 선대회장은 끝내 LG트윈스의 우승을 지켜보지 못한 채 지난 2018년 눈을 감았습니다.<br /><br />롤렉스 시계 역시 주인을 만나지 못한 채 구단 금고에 오랜 시간 보관돼 왔는데요.<br /><br />드디어 25년 만에 시계가 주인을 찾게 된 겁니다.<br /><br />구본무 LG 선대회장이 남긴 시계의 주인공은 2023 한국시리즈 MVP를 차지한 오지환 선수!<br /><br />오지환 선수는 지난 8일 경기에서 3연속 경기 홈런을 치며 단일시즌 한국시리즈 최다 연속 경기 홈런 신기록도 세웠는데요.<br /><br />맹활약한 덕분에 기자단 투표에서 90표 중 무려 83표를 받는 압도적인 지지로 영광의 MVP 자리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오지환 선수가 오랫동안 금고에 갇혔던 LG 구단의 시계 주인공이 되자 그와 LG의 깊은 인연도 재조명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LG가 준우승을 한 2002년 LG 팬이 된 오지환 선수, 입단 전부터 '유명한 LG팬'이었습니다.<br /><br />고교 3학년이던 2008년에는 소셜미디어에 "빨리 가고 싶다 LG 트윈스여!"라고 쓰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실제 LG가 오지환 선수를 택하면서 오지환 선수와 LG의 오랜 숙원이었던 우승까지 차지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시계의 주인공이 된 오지환 선수, 롤렉스 시계 소식이 전해지자 의외의 반응을 보였는데요.<br /><br />"해당 시계는 선대 회장의 유품이라고 생각한다"며 "더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전시했으면 한다"는 뜻도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시계를 기증함으로써 LG트윈스 우승의 기쁨을 모두와 함께 나누고 영원히 역사의 한순간으로 기억하고 싶다는 큰마음을 보여줬습니다.<br /><br />▶ 전보, 138년 만에 역사 속으로<br /><br />전보는 우편보다 더 빠르게 소식을 전달할 수 있어 19세기와 20세기, 급한 소식을 알릴 때 주로 사용되던 통신수단이었는데요.<br /><br />1965년 시외전보료는 10글자에 50원, 당시 라면 한 봉지가 10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이었습니다.<br /><br />때문에 글자 수를 최대한 줄이는 게 중요했는데요.<br /><br />간략히 보내려다 보니 주로 한자어를 사용해 뜻을 전달했습니다.<br /><br />1960년대에는 차마 웃지 못할 전보 오기 사고가 발생해 재판이 열리는 일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'모친 상경'이라고 친 전보가 전신국의 실수로 '모친 사망'으로 전달되면서 아들이 장례를 준비하는 일까지 벌어졌는데요.<br /><br />이후 잘못임이 밝혀지자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고, 이후 재판부는 "45만 원을 배상하라"고 판결을 내리기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럼 국내에서 첫 전보를 보낸 건, 언제일까요?<br /><br />국내에서의 첫 전보는 1885년 당시 한성전보총국이 서울에서 인천으로 전보를 보낸 게 처음이었는데요.<br /><br />광복 이후에는 체신부와 KT 전신인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서비스가 이관돼 역사를 이어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전자우편과 휴대전화가 대중화되면서 이용량이 급격히 줄었고 2010년대부터는 경축용이나 선물용으로만 명맥을 유지해왔는데요.<br /><br />전보 서비스는 세계적으로도 종료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이미 2006년 전보 서비스를 종료했고 독일 역시 올해 1월부로 서비스를 중단했는데요.<br /><br />국내에서 전보 서비스를 맡아왔던 KT도 다음 달 15일부로 전보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전보를 대체할 수 있는 우체국의 경조 카드 등 유사 서비스는 남아있는데요.<br /><br />138년의 역사를 뒤로하고 사라지는 전보, 하지만,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던 그 온기의 역사는 또 다른 통신수단을 통해 계속 이어져 오고 있는 게 아닐까요.<br /><br />지금까지 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